선택정렬
1. 선택정렬(Selection Sort)이란?
-. 실제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되는 간단한 정렬방법으로 오름차순을 기준으로 한다면,
최소값을 찾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데 배열크기만큼 반복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.
-. 가장 작은 값을 찾아서 첫번째 위치에 있는 값과 교환하고, 두번째로 작은 값을 찾아 두번째
위치에 있는 값과 교환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을 반복한다.
2. 선택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

버블정렬
1. 버블정렬이란?
-. 인접해 있는 두 개의 값을 비교해서 자료 교환을 한다.
-. 오름차순 정렬은 두 개의 값을 비교해서 큰 값을 오른쪽으로 보내는 방식이다,
내림차순 정렬은 두 개의 값을 비교해서 작은 값을 오른쪽으로 보내는 방식이다.
2. 버블정렬(Bubble Sort)과 유사한 용어
-. Interchange Sort
-. Shifting Sort
3. 버블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

퀵정렬
1. 퀵정렬(Quick Sort)이란?
-. 교환정렬의 일종이며 분할-정복법(divide and conquer)에 근거한다.
-. 정렬할 리스트를 두개로 분할하고 정렬하는 방법이다.
-. 축(pivot)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데, 축값을 중심으로 축값보다 큰 값은 오른쪽 리스트에
작은 값은 왼쪽리스트로 이동시킨다. (첫번째의 데이터를 축값으로 한다.)
-. 오른쪽 리스트와 왼쪽 리스트부분은 독립적인 단위로 정렬하여 오른쪽 리스트부분에 대한
새로운 분할 축값을 선택하여 두 부분으로 분리하고, 왼쪽 리스트부분 역시 새로운 축값을
선택하여 두 부분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리스트들은 재귀적 방법으로 각각 재배열
하는 방식이다.
-. 각 분할 자료개수가 1이 되면 정렬은 완료된다.
2. 퀵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
 |